EC2 인스턴스를 생성했을 때 발급받은 .pem 파일을 준비합니다. MacOS .pem 파일 준비 아래의 명령어로 해당 파일의 권한을 수정해줍니다. $ chmod 600 xxx.pem 이 권한 수정을 해주지 않으면 Permission denied (publickey,gssapi-keyex,gssapi-with-mic). 해당 에러가 발생한다. ssh 접속 $ ssh -i [.pem 파일 디렉토리 주소] ec2-user@퍼블릭IP주소 추가 설명을 하자면 .pem 파일 디렉토리 주소란 .pem 파일을 특정 디렉토리에 소중히 보관하고 터미널창에서 pwd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나오는 디렉토리 주소와 .pem 파일을 합친 것입니다. 저로 예를 들면 .pem 파일의 디렉토리 주소는 /Users/useonghwan/..
예전에 한창 취업을 해서 프로그래머, 개발자가 얼른 되고 싶을 때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는 시험도 보고 기술 면접을 보고 어떻게든 내가 코딩을 잘한다. 프로그래밍을 잘한다는 입장으로 보이고 싶었던 것 같다. 내가 이만큼 알고있고 이만큼 코드로 짤 수 있다는 걸 보여줘야 했었다. 난 어떠한 알고리즘을 코딩으로 풀어내야 했었다. 그래야 그들의 눈에 들어 내가 이 회사를 다닐 수 있을지도 모르니까.. 그때는 코딩 혹은 프로그래밍을 잘한다는 것은 딱 그 정도의 의미를 가졌다. 그때는 뭔가 나혼자만의 싸움을 진행했었던 것 같다. 그 시점으로부터 지금은 대략 2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누군가한테는 애걔와 고작일지도 모르지만 많은 블로그 포스팅에 있는 개발기, 예제 등 많은 부분을 연습하는 시간을 가졌고, 최대한 나..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자바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시간대를 매번 계산하기 어려워서 시간대 설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프로젝트의 시간대를 설정하는 방법과 원리에 대해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시간대는 기본적으로 시스템 default를 따르게 됩니다. 대한민국에서 이 블로그를 보고 있으시면 그냥 KST 한국 표준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다국어 및 다양한 시간대를 제공해야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기본적으로 UTC 시간대를 기준으로 잡고 해당 시간대를 기준으로 날짜/시간 객체를 처리하곤 할 것입니다. 일단 먼저 프로젝트의 전체 시간대를 시스템 default 시간대가 아닌 UTC 시간대를 바라보도록 수정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 UTC 시간대 바라보기 TimeZone.setDefault(T..
안녕하세요. 오늘은 exists() 연산자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사실 함수인지 연산자인지 개인적으로 혼란이 오는 부분이 있었지만 알아본 결과.. operator라는 단어로 서술되어있는 documentation이 많이있더라구요. 따라서 이 포스팅 내에서도 연산자로 서술하였습니다. 문법일단은 매개변수를 table 형태의 객체를 받고, bool 타입의 값을 리턴하는 형태의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EXISTS (subquery)- 서브쿼리라함은 그 자체로 테이블 형태의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Table 객체 타입으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exists 연산자를 사용할 때에는 이 subquery를 어떻게 간결하게 표현하느냐가 그 성능을 좌우하기도 합니다. 반환 타입bool (true/false) ..
안녕하세요. 오늘은 JS 측에서 많이 사용하는 오픈소스 텍스트 에디터인 VS CODE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설치 URLcode.visualstudio.com/downloadDownload Visual Studio Code - Mac, Linux, Windows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Download Visual Studio Code to experience a redefined code editor,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code.visualstudio.co..
안녕하세요. 오늘은 Spring Data JPA를 활용할때 기본 Insert로 사용하는 save 기능과 saveAll 기능에 대한 성능 실험을 해보려고 합니다. Spring Data JPA의 경우 Bulk Insert의 경우 많은 성능 이슈를 발생시켜서 JPA로 bulk Insert를 하는 것을 권장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로직이 있다면 이를 해소해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재미삼아 해보았으니 결과만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어플리케이션과 서버의 스펙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제 스펙을 적어보겠습니다. 실험 스펙- LG 그램 17 2019년형- intel cpu i7 8세대- Ram 16GB- Spring Boot 2.3 버전, Maven- Starte..
오늘은 Postgresql에서 특정날짜부분을 추출하는 extract() 함수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이미 이전 포스팅에서 extract() 함수에 대해서 사용법을 설명한 적이 있었는데요!sas-study.tistory.com/387[Postgresql] 날짜시간 추출, EXTRACT() 함수 사용법 정리오늘은 Postgresql에서 특정날짜부분을 추출하는 extract() 함수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extract() 함수는 날짜/시간 데이터에서 year(년도), month(월), day(일) 과 같은 요소를 추출/검색하는 함수입니다. sas-study.tistory.com거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해서 사실 큰 의미는 없지만 편하신 방법 혹은 표현을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문법해당 함수는 아래와 같이..
오늘은 Postgresql에서 특정날짜부분을 추출하는 extract() 함수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extract() 함수는 날짜/시간 데이터에서 year(년도), month(월), day(일) 과 같은 요소를 추출/검색하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면, '2021년 01월 01일 14시 23분 55초' 일때, 현재의 year(2021), month(1), day(1) 의 값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문법해당 함수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EXTRACT(field FROM source)field란 year, month, day 따위의 날짜/시간 데이터 요소를 말하고source란 실제 timestamp 값을 의미합니다. '2021-01-01 15:00:00' 와 같은 값입니다. 간단히 문법은 살펴보았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