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드라마 스타트업을 보면서 앞으로 내가 나아갈 수도 있을만한 세상을 이야기로 만나고 있다. 그 중에선 현실적으로 있을 법한 이야기도 있고, 억지스러운 이야기의 기승전결을 위한 컨셉도 있다. 하지만 개발자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한가지를 느꼈다. 주인공 서달미의 할머니는 곧 시각을 잃는다. 그 과정에서 개발자인 남도산은 이 사실을 가장 먼저 알게 된다. 남도산은 욕심이 없는 개발자. 항상 남을 위하는 선택을 했었고, 자신의 성공을 위한 개발을 하지 않았다. 그저 수년간 인공신경망이라는 기술을 붙들고 이미지 분석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만 계속하였다. 그런 그가 욕심을 가진 것은 서달미. 개발에 대한 욕심과 사랑에 대한 욕심이 합쳐진 남도산은 바로 엄청난 성과를 낸다. 시각장애인 어플 "눈길"을 고..
더욱 RESTFul API를 개발하고있는 코딩하는 흑구입니다. 해당 시리즈의 모든 소스코드는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API Validation과 ExceptionHandler를 이용한 예외처리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sas-study.tistory.com/368 [Spring Boot] 게시판 예제를 이용하여 더욱 RESTFul API 개발하기#2 (API Validation, ExceptionHandler) 지난 포스팅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API (흔히 Rest라고 부르는)를 만들어보았습니다. Board 객체를 CRUD 기준으로 5가지의 API를 개발해보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 확인해주시면 좋을 것 sas-study.tistory.com 그리고 마지막에 숙제로 7..
지난 포스팅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API (흔히 Rest라고 부르는)를 만들어보았습니다. Board 객체를 CRUD 기준으로 5가지의 API를 개발해보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 확인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sas-study.tistory.com/366 [Spring Boot] 게시판 예제를 이용하여 더욱 RESTFul API 개발하기#1 (흔히 REST API라고 불리는 API 예제) 안녕하세요. 몇달전에 썻던 Board 게시판 예제를 이용하여 rest api를 작성했던 포스팅에 이어 두번째 더욱 restful api 개발 예제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백기선님의 REST API 강의를 보고 많은 영 sas-study.tistory.com 오늘 진행해볼 내용은 Add 또는 Edit 시에..
JUnit5의 @DisplayName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여러 테스트의 이름을 붙여주어 표시하려고 하였으나 다음과 같이 달랑 Test Results 라는 문구만 나오고 표시되지 않았다... 해결방법 Settings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 Gradle 로 가서 위의 빨간색 네모에 표시된 내용을 아래처러 바꿔주면 된다. 결과 확인!! 잘되네요!! ㅎㅎ
안녕하세요. 몇달전에 썻던 Board 게시판 예제를 이용하여 rest api를 작성했던 포스팅에 이어 두번째 더욱 restful api 개발 예제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백기선님의 REST API 강의를 보고 많은 영감을 받았으며 해당 강의를 수강하면서 얻은 저의 영감..? 을 공유해드리기 위해 또한 기선님의 강의내용에 대한 스포가 존재할까 염려하여 전혀 다른 저만의 코딩스타일로 진행하고자하니 이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소스코드는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it branch 별로 stage를 나눠놓았으니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더욱 RESTFul한 API를 제작하는데 들어가는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 Spring Boot 2.3.4 - Java8 - gradle - Sprin..
현재, 스터디팜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고 5명의 인원과 모바일웹, IOS 클라이언트에서 지원하는 REST API를 개발중이다. 서버로 사용할 EC2, 이미지 및 파일 저장소 S3, 데이터베이스 RDS 이런식으로 구성하고자 했으나 RDS를 사용하는 것이 프리티어도 끝났고 요금상 개발비용이 좀 많이 들것 같아서 개발/테스트 서버에서 사용할 EC2에 Postgresql DB를 설치하여 EC2 서버 포트 5432에 붙어서 접속하고자 했다. * 이는 RDS를 두는 것보다 로컬에서는 현저히 속도가 느렸으나 API를 배포하고나서의 JMeter를 활용한 부하테스트에서 나름 잘 버티는 것 같아서 연습하고 싶은 사람에게만 추천한다. 사전작업 - AWS EC2에서 보안그룹에서 5432 포트 열어두기 -> Postgre..
안녕하세요. 오늘은 하이버네이트와 Spring Data JPA에 대하여 차이점을 알아보는 글을 발견하여 괜찮은 내용일 것 같아서 직접 번역/의역 과정을 거쳐서 포스팅하였습니다. 번역과정에서 구글 번역기를 활용하였으며 좀더 국어와 의미적인 부분을 맞추는 작업이 있었으므로 독자마다 원문과 내용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상하다 싶은 부분이 있으시다면 원문을 참조하여 주시고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확인해보고 저도 배우고 싶습니다. 원문 : dzone.com/articles/what-is-the-difference-between-hibernate-and-sprin-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Hibernate and Spring Data JPA? - DZone Java I..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자로써 동기부여하는 방법 세번째 시간입니다. 지난번과 지지난번에는 “slow and steady”와 “열등감과 자기반성”에 초점을 맞춰서 제 생각을 정리해보았는데요. 궁금하신분들은 아래의 링크로 확인해주세요!! sas-study.tistory.com/353 개발자로써 공부하는 동기부여방법(2) - 열등감과 자기반성 개발자로써 공부하는 동기부여방법(2)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자로써 흑구의 공부 동기부여 방법 두번째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제 블로그 url의 어원인 sas(Slow And Steady)에 기반하�� sas-study.tistory.com sas-study.tistory.com/352 개발자로써 공부하는 동기부여 방법(1) - slow and steady 개발자로써 공..